json 파일을 추가할 경우가 생겨서..
1. http.m 파일 수정
$webtob/config/http.m
json MimeType = "application/octet-stream", SvrType=HTML
json 파일을 추가할 경우가 생겨서..
1. http.m 파일 수정
$webtob/config/http.m
json MimeType = "application/octet-stream", SvrType=HTML
[WHY]
eclipse에서 grails plugin을 설치하지 않고도 ant view에서 편리하게 각각의 gradle 명령을 사용하고 싶었음.
참고한 reference를 보면 gradle이 설치되어 있고 GRADLE_HOME 환경변수가 설정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앞글에서 설명했던 gradlew 를 이용하면 미리 gradle binary들 설치하고 환경변수를 설정하지 않고도 빌드실행이 가능해진다.
[Prerequisite]
== gradle wrapper생성을 통해 만들어진 파일들 (3)
gradlew.bat or gradlew
gradle/wrapper/gradle-wrapper.jar
gradle/wrapper/gradle-wrapper.properties
== 실제 build를 수행할 build 파일
build.gradle
// this is sample...
apply plugin: 'java'
repositories {
mavenCentral()
}
[compileJava, compileTestJava]*.options*.encoding = 'UTF-8'
jar {
destinationDir = file("dist")
}
== gradle을 수행할 ant build wrapper
build.xml
<project name="build-gradle" default="help" basedir=".">
<property environment="env" />
<property name="gradle.executable" location="./gradlew.bat" /><!-- for window -->
<target name="help">
<exec executable="${gradle.executable}" dir=".">
<arg value="tasks" />
</exec>
</target>
<target name="build"> <!-- 모든 포함된 project의 build task를 실행 -->
<exec executable="${gradle.executable}" dir=".">
<arg value="build" />
</exec>
</target>
<!--
<target name="subproject-build" description=" 특정 subproject의 build task만 실행시키고 싶을때 사용">
<exec executable="${gradle.executable}" dir=".">
<arg value=":common:build" />
</exec>
</target>
-->
</project>
reference : https://gist.github.com/735788
maven이든 ant든 다른 어떤 툴이든, 우선 많은 용량의 binary를 다운 받아서 작업을 해야한다.
plugin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용량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거니와 행여나 버전이 낮아 쓰기 불편한 경우도 있어
새로 시작할 때마다 부담이 되는 경우가 있다.
gradle은 eclipse 지원을 일찍 포기한 것으로 보이는데, 상위버전에서 제공되는 명령이 제대로 먹히지 않는다.
(물론 별도의 GRADLE_HOME 을 설정할 수 있도록 preference 에서 설정화면을 제공하고 있다.)
gradle wrapper의 핵심 idea는 gradle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gradle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이다.
물론 아무것도 없이 실행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최소한의 쉘스크립트와 바이너리를 통해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gradle wrapper 스크립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gradle이 설치되어 있는 곳에서 시작하여야 한다.
build.gradle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현재 gradle 버전은'1.0-milestone-9' 이다.
task wrapper(type: Wrapper) {
gradleVersion = '1.0-milestone-9'
}
defaultTasks 'wrapper'
실행이 되면
쉘파일과 (윈도우용인 gradlew.bat , *nix용인 gradlew)
실행을 위한 jar (gradle/wrapper/gradle-wrapper.jar )
설정정보를 포함한 property ((gradle/wrapper/gradle-wrapper.properties)
가 만들어진다.
(cf. 새 버전이 나올 경우 wrapper task를 실행하여 새로 생성하거나 단순히 gradle-wrapper.properties 에서 binary를 다운 받을 경로를 변경해주면 된다.)
이제 준비완료.
gradlew가 해주는 역할은 단순하다.
gradle 배포본이 있는지 체크해서 없으면 gradle-wrapper.properties에 정의되어 있는 경로에서 다운로드를 받고,
있을 경우에는 모든 argument를 gradle 에게 전달한다.
현재 gradle-1.0-milestone-9-bin.zip의 크기는 29M다. ( gradle-wrapper.jar 는 39K )
기본으로 설치되는 위치는
$USER_HOME/.gradle/wrapper/dists
이제 신규 프로젝트에
저 파일을 같이 포함하면 준비완료.
gradlew 를 실행하면 된다.
reference : http://www.gradle.org/docs/current/userguide/gradle_wrapper.html
jqgrid의 이렇게 다양한 기능이 있다는걸 새롭게 알게됨.
formatter:'date',formatoptions: {newformat:'Y-m-d'} 을 추가
{name:'started', index:'started', sortable:false, align:'left', width:90, formatter:'date',formatoptions: {newformat:'Y-m-d'}},
referece) http://www.trirand.com/jqgridwiki/doku.php?id=wiki:colmodel_options
Rest Client example
- reference
http://blog.springsource.org/2009/03/27/rest-in-spring-3-resttemplate/
http://dlinsin.blogspot.com/2009/11/playing-with-spring-resttemplate.html http://static.springsource.org/spring/docs/3.0.x/javadoc-api/org/springframework/web/client/RestTemplate.htm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lient.*;
...
@RequestMapping(value="/rest",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rest( Model model) throws Exception{
String url = "http://localhost/sample?email={mail}";
RestOperations restTemplate = new RestTemplate();
String result = restTemplate.getForObject(url, String.class, "tistory@tistory.com"); // url, responseType, urlVariable
//DELETE delete(String, String...)
//GET getForObject(String, Class, String...)
//POST postForLocation(String, Object, String...)
//PUT put(String, Object, String...)
model.addAttribute("result",result);
// json방식으로 처리할 경우 바로 result를 return 하면 될듯..
return "sample/RestResult";
}
(물리위치)-{데이터센터명} - 일련번호 - {관리유형}
* 지리적 위치 : 미국? 한국?
* 용도 : 관리용, 일반사용자용 , 백업용 , 테스트용 등등..
Code | Subsystem |
---|---|
APM | Activity plan applet |
COM | Common |
DEX | Deployment engine |
DSE | Discovery |
GRP | Group management |
INF | Infrastructure |
JDS | Job distribution service |
JEE | J2EE. TheTivoli Provisioning Manager code that runs on the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
NET | Network management |
PCH | Patch management |
QLX | Data model query language exception |
SRV | Server management |
SWD | Software deployment |
TCA | Tivoli Common Agent |
TDM | Automation package manager |
TSK | Provisioning task management |
UTL | Utilities |